맨위로가기

신권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권 정치는 신의 직접적인 통치 또는 신의 대리인에 의한 통치를 의미하며, 어원은 그리스어 '테오크라티아'에서 유래한다. 고대 사회에서 파라오, 사사, 로마 황제 숭배 등이 신권 정치의 사례로 꼽히며, 동아시아에서는 천황과 천자가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칼리프가 종교적, 세속적 권력을 모두 가졌으며, 유럽에서는 비잔틴 제국과 뮌스터 반란이 신권 정치의 특징을 보였다. 현대에는 바티칸 시국, 아토스 산,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이 신권 정치 체제를 유지하거나, 종교적 요소를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와 정부 - 세속 국가
    세속 국가는 종교와 국가의 분리를 통해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세속주의 확립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종교 국가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 종교와 정부 - 국가 무신론
    국가 무신론은 국가가 공식적으로 무신론을 이념으로 채택하여 종교를 탄압하거나 배척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알바니아를 비롯한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나타났으며 종교 자유 침해 및 인권 문제를 야기한다.
  • 신권정치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하여 수립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은 물라 오마르를 최고 지도자로 두고 엄격한 샤리아 법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강압적인 정책을 시행했으나 2001년 미국의 침공으로 붕괴되었다가 2021년 재집권하여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
  • 신권정치 - 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
    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은 그리스 북부 아토스산에 위치한 자치 수도원 공동체로, 7세기부터 수도사들이 거주하며 동방 정교회의 중요한 성지로 발전했고, 여성 출입 금지와 독특한 수도 생활 방식, 비잔틴 예술 보존으로 유명하다.
  • 종교와 정치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종교와 정치 - 시온주의
    시온주의는 예루살렘의 시온산을 의미하며, 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의 국가 재건 운동을 가리키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운동이다.
신권 정치
기본 정보
정의종교 지도자가 정부를 이끄는 정치 체제
어원그리스어 théos(신)와 kratos(지배)에서 유래
로마자 표기theokratia
특징
권력 기반종교적 교리 및 법률
지도자성직자 또는 종교적 권위자
법률종교적 경전 또는 교리에 기반
목표신성한 법과 원칙을 사회에 적용
역사적 사례
고대 이집트파라오가 신의 대리자로 통치
티베트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한 불교적 신권 정치
이슬람 세계칼리파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적 신권 정치
중세 유럽교황을 중심으로 한 가톨릭 교회 중심의 신권 정치
제네바칼뱅의 신정 정치
현대이란 등 일부 국가에서 신권 정치 체제 유지
현대적 의미
권위주의적 성향일부 신정 정치는 종교적 권위를 이용하여 인권 탄압 및 반대 의견 억압
세속주의와 대립현대 사회에서 세속주의와 갈등 발생
정치적 안정신정 정치는 종교적 권위를 기반으로 정치적 안정 추구
비판다양성 부족, 인권 침해, 종교적 근본주의 심화 등의 문제점 지적
관련 개념
정교분리종교와 정치의 분리
세속주의종교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사회를 운영
군주제군주가 통치하는 정치 체제 (신권 정치와 혼합될 수 있음)
독재 정치한 사람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는 정치 체제 (신권 정치가 독재로 변질될 수 있음)
기타
관련 문서종교의 자유, 정치 체제, 종교
분류정치 체제

2. 정의

신정(神政)은 코이네 그리스어 θεοκρατία|테오크라티아grc("하느님의 통치")에서 유래한 용어로, 요세푸스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다.[6] 이는 "하느님 자신이 국가의 원수로 인정받는다"는 견해를 반영한다.[7] 교회나 유사한 종교 지도자가 통치한다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신정은 교권정치(ecclesiocracy)로 더 정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8]

교권정치에서 종교 지도자들은 국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지만, 자신들이 신성한 계시의 도구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세속 정부가 국교와 공존하거나 시민법의 일부를 종교 공동체에 위임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에서는 결혼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종교 단체에 의해 규율되며, 각 단체는 신자들에게 결혼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교와 무관한) 민법상 결혼 제도는 존재하지 않으며, 인정받지 못한 소수 종교에 의한 결혼도 허용되지 않는다.

메리엄-웹스터 사전에 따르면, “신정”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1) 즉각적인 신의 인도에 의해 또는 신의 인도를 받는 것으로 여겨지는 관리들에 의해 국가가 통치되는 정치 체제, (2) 신정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

신정은 고대 그리스어로 "신"을 뜻하는 `θεος` (theos)와 "통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κρατειν` (kratein)에서 파생된 명사 `κρατια` (kratia)의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신에 의한 통치"를 의미한다. 요세푸스가 유대 사회를 가리켜 처음 사용했다고 여겨진다.[85] 현대에는 바티칸 시국이 해당한다.

3. 어원

"신권 정치"(theocracy)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θεοκρατία|테오크라티아grc에서 유래하며, "하느님의 통치"를 의미한다. 이는 다시 "신"을 의미하는 θεός(theos)와 "통치하다"를 의미하는 κρατέω(krateo)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그리스어에서 이 단어의 의미는 "신(들)에 의한 통치" 또는 신(들)의 화신에 의한 통치였다.

이 용어는 기원후 1세기에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유대인들의 특징적인 정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 만들었다. 요세푸스는 인류가 발전시킨 대부분의 통치 형태는 군주정, 과두정, 민주정이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요세푸스에 따르면, 유대인들의 정부는 독특했으며, 신이 군주이고 신의 말씀이 법인 이 정체를 설명하기 위해 "신권 정치"라는 용어를 제시했다.[4]

요세푸스의 정의는 계몽주의 시대까지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이 시대에 이 용어는 부정적인 함축을 갖게 되었고, 헤겔의 논평에 의해 간신히 구제되었다.[5] 영어로 처음 기록된 사용은 1622년으로, "신의 영감 아래 있는 사제 정부"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와 같이)라는 의미였다. "정치적, 시민적 권력을 행사하는 사제 또는 종교 집단"이라는 의미는 1825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4.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회에서 신정 정치적 요소가 나타났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라오를 신성시하고 호루스와 연관시켰으며, 사후에는 오시리스와 연관시켰다.[52] 파라오는 백성과 신들 사이를 중재하는 책임을 지녔다.[53] 초기 이스라엘은 사사들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이들은 하나님의 대표자로 여겨졌다. 고대 로마에서는 황제 숭배를 통해 로마 황제와 그 가족 구성원 일부를 신성한 권위를 가진 존재로 여겼다.

일본에서는 천황신도의 태양신 아마테라스의 후손으로 숭배했다. 히로히토 천황은 신격 부인 선언을 통해 이러한 신성한 지위를 포기했다.[54] 중국에서는 군주가 천자로 여겨졌으며, 상나라는 통치 가문을 천자로 선포하고 최고의 신 상제를 숭배했다.[58] 진시황제 이후 황제의 말은 신성한 칙령으로 간주되었다.

티베트에서는 1642년 제5대 달라이 라마몽골의 군사력과 연합하여 종교적, 정치적 권력을 통합하면서 이중 정부 체제가 시작되었다.[55] 몽골의 보그드 칸국 시대(1911년-1919년)는 불교적 신권 정치를 특징으로 했다.[57]

수니파 이슬람에서는 칼리프가 종교적, 세속적 권력을 모두 가지며, 시아파에서는 이맘이 신에 의해 선택된 칼리프여야 한다고 믿는다. 티무르 제국무굴 제국의 황제들은 이슬람교의 신과 신하들 사이의 중재자로 여겨졌다.

동로마 제국은 황제가 세속 사회의 수장이자 교회 당국의 최고 권위자인 심포니아(Symphonia) 체제로 운영되었다.[62] 뮌스터 반란 당시에는 재세례파 정권인 "새 예루살렘"이 세워지기도 했다. 장 칼뱅 시대의 제네바울리히 츠빙글리 시대의 취리히에서도 신정 정치적 요소가 나타났다.[65][66][67] 지롤라모 사보나롤라피렌체를 통치했던 시기에도 신정 정치의 특징이 나타났다.

몰몬교는 브리검 영의 지도 하에 신정민주주의 형태의 데저렛 주(State of Deseret)를 세웠으나, 유타 전쟁 이후 세속적 측면이 약화되었다.[74][75][76][77] 매사추세츠 식민지는 청교도 교회 중심의 엄격한 신권 정치를 시행했다.

아케메네스 제국에서는 조로아스터교가 국교였으며, 사산 왕조 시대에는 다른 종교에 대한 불관용이 나타났다.[78][79] 몬테네그로 친왕-주교령은 주교가 통치하는 신권 정치 체제였다. 퀘벡에서는 모리스 듀플레시 주지사 시대에 로마 가톨릭 신권 정치의 특징을 보였다.[80][81]

4. 1. 고대 사회

수메르 도시들은 아마도 신권 정치였을 것이며, 남녀 장로들의 의회의 도움을 받는 사제왕(ensi영어)이 도시를 이끌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51]

고대 이집트 사회는 파라오를 신성시 여기고 호루스와 연관시켰으며, 사후에는 오시리스와 연관시켰다.[52] 파라오는 다른 이집트 신화의 신들과 동등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신들과 백성 사이를 중재하는 책임을 지니고 있었다.[53]

성경 시대에 초기 이스라엘(Early Israel)은 사사에 의해 통치되는 사사정치(kritarchy)였으며, 사울 왕정이 수립되기 전이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사사들을 하나님의 심판을 집행하는 하나님의 대표자로 여겼으며, 사사들 자신도 종종 예언자였다.

기원전 27년경부터 고대 로마의 황제 숭배는 로마 황제와 그 가족 구성원 일부를 신성한 권위(''아우크토리타스'')를 가진 로마 국가와 동일시했다. 살아있는 황제에게 공식적으로 ''쿨투스''를 제공하는 것은 그의 직책과 통치가 신성하게 승인되고 헌법적인 것임을 인정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원수정은 전통적인 공화정의 신들과 모레스에 대한 경건한 존중을 보여주어야 했다.

4. 2. 동아시아

일본에서 국민들은 역사적으로 천황신도의 태양신 아마테라스의 후손으로 숭배해 왔다. 이러한 혈통을 통해 천황은 일본 국민의 최고 지도자인 살아있는 신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지위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점령으로 바뀌었다. 1946년 1월 1일, 히로히토 천황은 더글러스 맥아더의 요청에 따라 일본이 민주 국가로 재편될 수 있도록 신격 부인 선언을 했다.[54]

중국 군주는 역사적으로 천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첫 번째 역사적 황제 이후로 이것은 대부분 의례적인 것이었고, 전통은 이를 로마 제도와 마찬가지로 사후에 부여되는 칭호로 확립했다. 진시황제(재위 BCE) 이전의 상황은 덜 명확하다.

상나라(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5년경)는 본질적으로 신정 정치로 기능하여 통치 가문을 천자로 선포하고, 사망한 조상을 위한 단어를 따서 최고의 하늘 신 상제라고 불렀다.[58] 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상나라의 왕족은 몰락하지 않고 의례적인 수도로 이주하여 그들의 의식을 계속 수행하도록 명령받았다.

진시황제가 그의 새로운 황제 칭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한 칭호는 원래 하늘과 땅을 다스렸던 신과 같은 존재와 문화 영웅에게 적용되었는데, 이들은 농업, 의복, 음악, 점성술 등의 발명으로 공로를 인정받았다. 기원전 206년에 이 멸망한 후에도, 황제의 말은 신성한 칙령(聖旨중국어)으로 간주되었고, 그의 서면 선포는 "상부의 지시"(上諭중국어)로 간주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부 한자학자들은 ''황제''(일반적으로 "황제"로 번역됨)라는 칭호를 ''신권 정치 지도자''로 번역한다. 이 용어는 신정 정치(신들의 왕국)의 수장을 적절히 가리키지만, 더 구체적인 "신권 정치 지도자"는 중국 황제를 묘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부정확한 강력한 사제 계급과 관련이 있다. 다른 학자들은 전설적인 중국 선사 시대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 "신권 정치 지도자"라는 단어의 사용을 유보하고 역사적 통치자를 묘사하기 위해 "황제"라는 단어를 계속 사용한다.[58]

태평천국(1851년 ~ 1864년)은 청나라에서 홍수전이 이끄는 이단 기독교 신정 정치였는데, 그는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동생으로 묘사했다. 그의 신정 정치 국가는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전쟁 중 하나인 태평천국 운동을 15년 동안 청나라에 맞서 싸웠고, 1864년 반란군 수도 난징 함락 후 진압되었다.

티베트의 통합된 종교 지배는 1642년 제5대 달라이 라마가 몽골의 구시리 칸의 군사력과 연합하여 정치적 권력을 통합하고 겔룩파의 수장으로서 그의 직책을 중심으로 권력을 집중시키면서 시작되었다.[55] 이러한 통치 형태는 이중 정부 체제로 알려져 있다. 1642년 이전에는 특정 사원과 승려들이 티베트 전역에서 상당한 권력을 행사했지만 완전한 통제에 근접하는 것은 이루지 못했으며, 제5대 달라이 라마의 즉위 후에도 그들의 권력은 분산된 봉건 체제로 계속되었다. 티베트의 권력은 귀족, 주요 불교 종파의 수장들(그들의 여러 툴쿠들을 포함하여), 그리고 여러 대규모의 영향력 있는 수도원 공동체를 포함한 여러 전통적인 엘리트들에 의해 장악되었다.[56]

몽골의 보그드 칸국 시대(1911년-1919년)는 불교적 신권 정치를 특징으로 하는 칸국이었다.[57]

4. 3. 이슬람 세계

수니파 이슬람은 국가 원수인 칼리프는 무슬림들 또는 그들의 대표자들에 의해 선출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시아파 신자들은 칼리프는 아흘 알바이트("가문의 집", 무함마드의 직계 후손)에서 신에 의해 선택된 이맘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두 경우 모두 칼리프는 이론적으로 종교적 권력과 세속적 권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자한기르 황제, 기도하는 모습


티무르 제국무굴 제국의 황제들은 하즈라트 이샨(Hazrat Ishaan)의 축복으로 인해 신하들과 이슬람교의 신 사이의 중재자로 여겨졌다. 이샨들은 티무르와 무굴 황제들의 영적 지도자였다. 황제들은 이샨들이 무함마드의 정당한 영적 계승자라고 믿었고, 따라서 모든 시대의 신과 인류 사이의 궁극적인 중재자(Qutb)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이러한 이유로 "신의 예언자의 그림자"(Shadow of God´s Prophet)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질루-나빌라"(ظِلُّ النبی ٱلله) 또는 "사예 나비-에-후다"(Sayeh Nabi-e- Khuda)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신을 대표함을 나타냈다. 특히 오랑제브 황제는 당대의 하즈라트 이샨이자 그의 사촌이자 사위인 니잠우딘 낙시반드 왕자 (크와자 콰완드 마흐무드의 외손자이자 자한기르의 외손자)의 축복(Ijaza)을 통해 칼리프(Caliphate)와 아미르 알 무미닌(Amir Al Muminin)의 칭호를 계승했다.[59][60][61]

4. 4. 유럽

동로마 제국(324년–1453년)은 심포니아(Symphonia) 체제 하에 운영되었는데, 이는 황제가 세속 사회의 수장이자 교회 당국인 총대주교청에 대한 최고 권위자였음을 의미한다. 하늘의 대표자로 여겨진 황제는 절대 군주로 통치하였다.[62] 제니퍼 프렛랜드 반부어스트는 "비잔티움 제국은 기독교적 가치와 이상이 제국의 정치적 이상의 기초가 되고 정치적 목표와 깊이 얽혀 있었다는 의미에서 신정국가가 되었다"고 주장한다.[63]

1533년부터 1535년까지 프로테스탄트 지도자 얀 마티스와 뮌스터의 얀은 서팔리아 뮌스터 시에 짧게 존속한 신정국가인 뮌스터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은 천년왕국 사상과 종말론적 기대를 가지고 재세례파 정권인 "새 예루살렘"을 세웠다. 돈이 폐지되었고 십계명 위반은 사형에 처해졌다. 경건한 이념에도 불구하고 일부다처제가 허용되었으며, 얀은 17명의 아내를 두었다. 1535년 뮌스터의 주교 프란츠 폰 발덱이 도시를 탈환하여 신정국가의 존재는 끝났다.

역사학자들은 16세기 장 칼뱅 시대 스위스 제네바가 어느 정도까지 신정정치였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으로 칼뱅의 신학은 명백하게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했다. 다른 역사학자들은 성직자들이 매일 행사한 막대한 정치적 권력을 강조한다.[65][66] 인근 스위스 취리히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가 울리히 츠빙글리가 많은 학자들이 신정정치라고 부르는 정치 체제를 구축했다.[67]

도미니크 수도회 사제였던 지롤라모 사보나롤라피렌체를 지배했던 짧은 기간(1494~1498년)은 신정정치의 특징을 보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비기독교적" 책, 조각상, 시 등이 불태워졌고(허영의 화형식), 남색은 사형에 처할 죄가 되었으며, 다른 기독교적 관습들이 법으로 제정되었다.

4. 5. 아메리카

조셉 스미스(Joseph Smith)가 일리노이주 노부에서 후기 성도 운동을 시작한 후, 몰몬교도들은 심한 박해를 피해 미국을 떠나 그레이트솔트호 계곡(당시 멕시코 영토)에 정착했다. 1848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으로 이 지역이 미국 영토가 되었지만, 몰몬교의 데저렛 주(State of Deseret)는 단명했다.[74] 브리검 영은 멜기세덱 신권을 통해 이 지역을 관리했으며, 이는 성경적 신정과 19세기 중반 미국의 정치적 이상을 결합한 신정민주주의 형태였다.[75][76]

1849년, 성도들은 유타주에 세속 정부를 조직했지만,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세속 권력도 유지했다. 1850년 타협으로 유타 준주가 설립되고, 밀러드 필모어(Millard Fillmore) 대통령은 브리검 영을 주지사로 임명했다(1851~1858년 재임). 영은 교회와 세속 정부의 수장을 겸임했다. 유타 전쟁 이후, 연방 정부의 탄압과 일부다처제 논쟁 해결, 유타주의 주 승격을 거치면서, LDS 신정민주주의의 세속적 측면은 크게 약화되었다.[77]

미국 독립 전쟁 이전까지 매사추세츠 식민지는 청교도(회중파) 교회 중심의 엄격한 신권 정치를 시행했다. 모든 백인 주민은 청교도 교회에 속해야 했고, 지역사회 지도자들은 주로 목사였으며, 종교적 일탈은 용납되지 않았다. 다른 종파 신자들은 로드아일랜드로 추방되거나 종교적 차별을 받았다.

4. 6. 기타


  • '''페르시아/이란''' :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조로아스터교가 국교였으며, 왕들은 '아샤'라는 조로아스터교식 법에 따라 통치했다. 키루스 2세는 종교적 관용을 보였으나, 사산 왕조 시대에는 다른 종교에 대한 불관용이 만연했다.[78][79]
  • '''몬테네그로 친왕-주교령''' :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세르비아 정교회 공국으로, 주교가 통치하는 신권 정치 체제였다. 초대 친왕-주교는 바빌라였으며, 1697년 다닐로 슈체프체비치에 의해 세습 체제로 변모했다.
  • '''퀘벡''' : 1936년부터 1959년까지 모리스 듀플레시 주지사 시대에 로마 가톨릭 신권 정치의 특징을 보였다. 교회는 교육과 의료를 통제하고, 문화 검열을 시행했으며, 종교가 민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신권 정치는 1960년 조용한 혁명으로 종식되었다.[80][81]
  • '''폴리네시아''' : 전통적인 폴리네시아 사회에서 신정 정치 체제가 확인되었다.[82]

5. 현대의 신정 정치

현대에는 국교를 가진 국가가 있다고 해서 그 국가가 좁은 의미의 신정 정치인 것은 아니다. 많은 국가들이 정부가 신의 권능이나 종교 권위로부터 권력을 직접 얻는 것이 아니라 국교를 가지고 있다. 현대 세계에는 신정 정치가 드물기 때문에 "신정 정치"라는 단어는 현재 국교를 시행하는 정부를 묘사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5. 1. 기독교 신정 정치

1870년 9월 20일 로마 교황령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1929년 이탈리아 정부와 체결된 라테라노 조약을 통해 새로운 국가인 바티칸 시국이 공식적으로 건설되었고, 파시스트 이탈리아로부터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9] 바티칸의 국가 원수는 고위 성직자들의 모임인 추기경단이 선출하는 교황이다.[9] 교황은 종신직이며, 재임 중 사망하거나 극히 드물게 사임할 수 있다. 추기경들은 교황이 임명하며, 따라서 교황은 자신의 후계자를 선출할 사람들을 선택한다.

투표는 80세 미만의 추기경으로 제한된다.[9] 교황은 국가와의 관계를 직접 담당하는 국가 관계 장관을 임명한다. 바티칸의 법 체계는 교회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로마 주교이자 교황인 그는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의 충만함"을 가지고 있다.[10] 바티칸 시국의 법률은 이탈리아의 속세 법률에서 유래하지만, 법원의 법률 제3조에 따라 "이탈리아 왕국이 공포한 법률"의 적용에 대한 조항이 마련되어 있다.[11]

아토스 산은 그리스에 있는 산악 반도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직할 아래 20개의 수도원으로 구성된 동방 정교회 자치구역이다. 아토스 산에는 거의 1,800년 동안 기독교인들이 끊임없이 거주해 왔으며, 적어도 서기 800년 이전부터 수도원의 역사가 길게 이어져 왔다. 아토스 산의 자치 기원은 972년 비잔티움 제국 황제 요한 2세 짐이스케스가 발표한 칙령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095년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그리스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이 지역의 통제권을 빼앗았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러시아 제국의 붕괴 이후 러시아 제국과의 외교적 분쟁이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은 후에야 비로소 그리스의 일부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12]

아토스 산은 그리스의 유럽 연합 가입에 따라 요구되는 유럽 단일 시장의 사람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에서 특별히 제외된다.[13] 수도사들의 명시적인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입장이 허용된다. 아토스 산의 일일 방문객 수는 제한되며 모든 방문객은 입장 허가를 받아야 한다. 남성만 방문이 허용되며, 동방 정교회 신자에게는 허가 발급 시 우선권이 주어진다. 아토스 산 거주민은 18세 이상의 동방 정교회 신자이면서 수도사 또는 근로자여야 한다.[14]

아토스 산은 20개 수도원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공동체와 그리스 외무부가 임명한 아토스 산 민정 관리관이 공동으로 통치한다. 수도 공동체는 프로토스(Protos (monastic office))가 이끌고 있다.

5. 2. 이슬람 신정 정치

이슬람 공화국은 이슬람 법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를 의미하며, 이란, 파키스탄, 모리타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란은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슬람 공화국이 되었으며, 최고지도자가 국가 원수로서 큰 권한을 가진다.[35] 현 최고지도자는 알리 하메네이로, 1989년부터 재임 중이다. 그는 군 사령관, 국영 방송 국장 등 정부 요직 인사를 임명하고, 수호자회의 위원들을 공동 임명한다.[36] 수호자회의는 의회에서 통과된 법률을 샤리아에 따라 심의하고 거부할 권한을 가지며, 선거 후보자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32] 이란 헌법은 "모든 민사, 형사, 재정, 경제, 행정, 문화, 군사, 정치 및 기타 법률과 규정은 이슬람 기준에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34]

이란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 선전 포스터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을 국교로 하는 주권 국가이지만,[40] 종교적 소수자의 권리 제한과 이슬람에서 타 종교로의 개종을 사형으로 처벌하는 등의 이유로 신정 군주제로 비판받기도 한다.[40]

아프가니스탄탈레반 통치하(1996-2001, 2021-)에 이슬람 신정 국가였다.[16] 탈레반은 샤리아를 엄격하게 해석하여 사회를 통제했으며, 여성 인권 탄압, 소수 민족 및 종교 박해 등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다.[17] 탈레반 정권은 하나피 이슬람 법학파와 몰라 오마르의 종교적 칙령에 따라 샤리아를 해석했다.[17] 이들은 음악, 텔레비전, 영화 등 다양한 소비자 기술과 예술 형태를 금지했으며, 여성의 사회 활동과 교육을 제한했다.[17]

6. 비판 및 논쟁

신정 정치는 종교의 자유, 소수자 권리, 민주주의 원칙 등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는다. 종교적 교리가 사회 전반에 강요될 경우,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될 수 있다. 특정 종교나 종파가 우대받고 다른 종교나 종파가 차별받을 수 있으며, 종교 지도자의 권력이 비대해지고 정치적 부패가 발생할 수 있다.[40][41]

사우디아라비아는 기본법에서 이슬람을 공식 종교로 하는 주권을 가진 아랍 이슬람 국가로 정의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이슬람 정교일치 국가라고 비판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종교적 소수자들이 자신들의 종교를 공개적으로 실천할 권리가 없으며, 이슬람에서 다른 종교로 개종하는 것은 이단으로 간주되어 사형에 처해진다.[40] 무함마드 알-아타우네는 현재 사우디 정권을 "오랜 종교 문화적 규범에서 권력을 끌어들이는 신정 군주제"라고 묘사한다.[41]

참조

[1]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Theocracy Palgrave Macmillan US 2009
[2] 서적 Webster's Encyclopedic Unabridge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989
[3] 사전 Theocracy, n. http://oxforddiction[...] 2015
[4] 서적 Against Apion by Flavius Josephus, Book II, Chapter 17 http://www.gutenberg[...] 2001-10
[5] 학술지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tate in Hegel's Thought 2004
[6] 문서 OED
[7] 웹사이트 A form of civil government in which God himself is recognized as the head.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8] 웹사이트 Biblical Theocracy: A vision of the biblical foundations for a Christian political philosophy http://www.hkbu.edu.[...] Philopsychy Press 1993
[9]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 Holy See https://www.cia.gov/[...] CIA
[10] 법률 Fundamental Law of Vatican City State
[11] 웹사이트 Researching the Law of the Vatican City State http://www.nyulawglo[...] 2007-11
[12] 잡지 The "Holy Mountain" https://www.foreigna[...]
[13] 법률 non-accession treaty http://eur-lex.europ[...]
[14] 잡지 What is behind Vladimir Putin's curious interest in Mount Athos? https://www.spectato[...] 2016-09-10
[15] 웹사이트 Government type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16] 문서 Griffiths
[17] 서적 The Taliban Phenomenon: Afghanistan 1994–1997 Oxford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US Country Report on Human Rights Practices – Afghanistan 2001 https://2001-2009.st[...] State.gov 2002-03-04
[19] 학술지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Evaluation of the Taliban Crackdown Against Opium Poppy Cultivation in Afghanistan https://www.research[...] Elsevier 2005-03
[20] 서적 Drugs Politics: Managing Disorder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Afghanistan, Opium and the Taliban http://opioids.com/a[...]
[22] 서적 Taliban: Militant Islam, Oil and Fundamental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0
[23] 서적 2010
[24] 서적 2010
[25] 서적 2010
[26] 인터뷰 Interview with Taliban spokesman Mullah Wakil in Arabic magazine Al-Majallah 1996-10-23
[27] 서적 2010
[28] 서적 2010
[29] 서적 Iran: Stuck in Transition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2017
[30] 서적 Iran https://books.google[...] 2004
[31] 서적 Iran and the West : cultural perceptions from the Sasanian Empire to the Islamic Republic https://books.google[...] 2018
[32]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 Iran https://www.cia.gov/[...] CIA
[33] 웹사이트 Iran, Islam and the Rule of Law https://www.wsj.com/[...] 2009-07-27
[34] 웹사이트 Iran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International Constitutional Law (ICL) 1979-10-24
[35] 웹사이트 Chapter 8 – The Leader or Leadership Council http://www.iranonlin[...] Constitution of Iran
[36] 간행물 Who's in Charge? 2008-11-06
[37] 웹사이트 Articles 107–112 http://www.iranonlin[...] 2010-11-23
[38] 웹사이트 Understanding Iran's Assembly of Experts https://wayback.arch[...] 2012-07-28
[3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an http://www.iranonlin[...] 2008-04-10
[40] 서적 Dispute Resolution in Islamic Finance: Alternatives to Litig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1-21
[41] 논문 Is Saudi Arabia a Theocracy? Religion and Governance in Contemporary Saudi Arabia https://www.jstor.or[...] Routledge 2022-11-21
[42] 서적 Samdhong Rinpoche: Uncompromising Truth for a Compromised World World Wisdom 2001-08-20
[43] 웹사이트 The Charter of Tibetans in-Exile http://www.servat.un[...] 2010-03-19
[44] 웹사이트 The Charter of Tibetans in-Exile http://www.servat.un[...] 2010-03-19
[45] 뉴스 Lobsang Sangay chosen for political work http://www.thehindu.[...] 2017-01-09
[46] 뉴스 Lobsang Sangay: profile https://www.telegrap[...] 2011-08-08
[47] 웹사이트 Tibetan Parliament changes 'Kalon Tripa' to 'Sikyong' https://web.archive.[...] 2013-01-31
[48] 뉴스 Kalon Tripa to be now referred to as Sikyong https://web.archive.[...] Tibetan Review 2012-12-11
[49] 웹사이트 International Support Groups Meet in Dharamsala to Deal with Critical Situation In Tibet https://web.archive.[...]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2013-01-31
[50] 웹사이트 srid skyong http://rywiki.tsadra[...] 2013-05-14
[51] 서적 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39
[52] 웹사이트 pharaoh Definition,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5-15
[53] 웹사이트 Ancient Egypt - The king and ideology: administration, art, and writing https://www.britanni[...] 2021-05-15
[54] 웹사이트 3-1 Emperor, Imperial Rescript Denying His Divinity (Professing His Humanity) https://www.ndl.go.j[...] 2020-08-02
[55] 서적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2004
[56] 서적 Prisoners of Shangri-La: Tibetan Buddhism and the We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57] 서적 Constitutional Foundings in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2-03
[58] 서적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12-22
[59] 논문 Mughal Court Rituals: The Symbolism of Imperial Authority During Akbar's Reign http://www.jstor.org[...] 2006
[60] 웹사이트 Power & Desire https://sites.asiaso[...]
[61] 웹사이트 Main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Mughal Administration https://www.historyd[...] 2014-11-29
[62] 서적 The Byzantine The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63] 서적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google[...] Compass Point Books 2015-08-13
[64] 서적 The Byzantine Theocracy Cambridge Press 2003
[65] 서적 Calvin's Doctrine of the State: A Reformed Doctrine and Its American Trajectory, The Revolutionary War, and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15-08-13
[66] 서적 The Christian polity of John Calv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67] 서적 Zwingli's Theocracy Toronto University Press 1967
[68] 논문 National Culture, Personality, and Theocracy in the Early Mormon Culture of Violence 2002
[69] 논문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Mormon Theory and Practice https://www.dialogue[...] 2015-07-16
[70] 논문 The Power and the Peculiarity: The Paradoxes of Early Mormonism http://muse.jhu.edu/[...] 2013
[71] 웹사이트 General Smith's Views on the Powers and Policy of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http://contentdm.lib[...] 2015-07-30
[72] 서적 Exiles in a Land of Liberty: Mormons in America, 1830–184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3] 문서 Carthage Jail
[74] 웹사이트 Deseret http://historytogo.u[...]
[75] 서적 Brigham Young: Pioneer Prophet
[76] 논문 God and the People: Theodemocracy in Nineteenth-Century Mormonism https://webprod.uvu.[...]
[77] 서적 Mormons in American Politics: From Persecution to Power ABC-CLIO
[78] 웹사이트 Zoroastrianism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2020-05-16
[79] 웹사이트 Zoroastrianism under Persian rule http://www.bbc.co.uk[...] 2012-01-05
[80] 웹사이트 C'était le temps des Ayatollahs https://lactualite.c[...] 2009-11-02
[81] 웹사이트 Sortir en famille au ciné-parc https://ici.radio-ca[...] 2020-06-05
[82] 서적 Social and Cultural Dynamics: A Study of Change in Major Systems of Art, Truth, Ethics, Law and Social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2-03
[83] 서적 田中角栄の遺言 クレスト社
[84] 웹사이트 Theocracy https://www.merriam-[...] 2017-03-13
[85] 문서 Theocrac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